오타검사기 바로가기 본문
안녕하세요. 오타검사기 바로가기 입니다. 자소서를쓰거나 논문 또는 중요한 문서를 작성할 때 아무리 글을 잘 쓰더라도 글자가 틀리거나 문맥상 흐름이 맞지 않는경우 마이너스 요건이 되겠죠. 그럴 때에는 오타검사, 맞춤법 검사가 필요한데요, 그래서 오타검사, 맞춤법 검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검사기 2가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지금부터 알아보아요.
글을 열심히 쓰고서 오타가 있다는 걸 뒤늦게 발견되었을 경우, 난감하고 속상하겠죠? 제가 소개해 드리는 오타 검색기 2가지 종류와 장단점을 알아볼게요.
첫번째는 네이버 맞춤법 검색기 입니다. 네이버 홈페이지에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라고 검색하면 위에 위에 사진처럼 검사기가 뜰거에요. 왼쪽 칸에 자신이 확인하고 싶은 문장을 넣어주고 검사하기르 눌러주세요. 그럼 오른 쪽 칸에 수정이 된 문장이 보인답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의 장점은 그때 그때 맞춤법이 궁금한 단어나 문장을 간단하게 써서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반면 500자로 제한 되어 있어서 자소서나 논문을 쓴다면 시간이 오래걸릴 뿐더러 번거로울 수 있어요.
두번째는 부산대의 맞춤법 검사기에요. 저도 이 글을 포스팅할 때 도입 부분이 인사말을 복사하여 맞춤법검사를 해보았는데요... 왼쪽에는 글이 수정되면서 오른쪽에 교정을 왜 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려주네요. 부산대의 맞춤법 검사기의 장점은 많은 글들을 복사해 넣어 검사할 수 있다는 점이 으뜸인것 같아요. 그리고 제가 쓴 글 위에 틀린부분이 빨간색으로 체크되어져 있어 한눈에 쉽게 들어온 다는 점이 좋았어요. 단점은 딱히 없었던 것 같아요.
이렇게 오타검사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중요한 글을 쓸 때나 논문을 쓸 때, 자소서를 쓸 때, 보고서를 쓸 때 등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어 좋았어요. 몇날 몇일을 힘들게 공들여서 쓴 글을 제출했을 때 검토한 분이 오타로 지적을 한다면 너무 속상하고 민망한 일이 될거에요. 그렇게 되기 전에 예방차원으로 한번씩 검색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